![](https://blog.kakaocdn.net/dn/cAwJE5/btsF7HFtZtt/PbMFjyA5dKytLrolaSstw0/img.png)
안녕하세요. 내추럴바디짐입니다.
오늘은 소아청소년의 비만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비만은 그 자체로도 위험하지만 전신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켜 생명은 물론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을 치료가 필요한 만성 비전염성질환으로 규정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XTRW/btsF5u1EECs/rSrHHbKujbEqEL7DMjULSK/img.jpg)
최근 우리나라는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 비만의 증가세가 뚜렷해져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소아 청소년 비만은 의학적으로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 나이 대에서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 이상 많이 나가거나 같은 연령대에서 체질량지수(BMI)가 상위 5%인 경우를 말합니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남아는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로 약 2.5배 증가했으며 여아는 2012년 8.8%에서 2021년 12.3%로 약 1.4배 증가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21년 기분 10~12세 소아가 21.4%, 16~18세 청소년은 21.7%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무엇보다 소아청소년 비만이 위험한 것은 결국 성인 비만으로 이어져 평생의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어 마음도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Yk0z/btsF62woO4B/zGaNf596GphzH9kbGGWRzK/img.jpg)
소아청소년기에 비만이었다면 중년기에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및 심뇌혈관질환을 앓고 이로 인해 사망위험도가 높아집니다. 열등감, 우울증, 낮은 자존감, 부정적 자아관 등의 정서적 문제도 야기해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국내 의료진의 연구에서도 비만한 청소년일수록 심장대사질환 위험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박혜순 교수 연구팀이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2~18세 청소년 중 2182명을 대상으로 ‘과체중 및 비만을 가진 한국 청소년의 심장대사 위험인자 군집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과체중 또는 비만 청소년은 1개 이상의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갖고 있었고 저체중이거나 정상체중인 청소년보다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보유할 가능성도 높았습니다.
심장대사 위험인자는 고혈압, 높은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트롤, 낮은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트롤, 높은 중성지방, 높은 공복혈당, 높은 간 수치, 고요산혈증으로 한정하고 연구 대상자 개인별 증상 개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비만 청소년의 76.5%는 1개 이상의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갖고 있었고 2개 이상은 49.8%, 3개 이상은 22.7%로 나타났습니다. 과체중 청소년은 심장대사 위험인자 1개 이상을 가진 비율이 60.5%, 2개 이상 24%, 3개 이상은 9.1%였습니다.
소아청소년 비만을 예방하려면 어릴 때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창 성장할 시기인 만큼 일방적인 식단 강요는 금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9NM5/btsF5TzS8s5/egNgCs9jPXsUyaWfOwLJB0/img.jpg)
365mc 천호점 조민영 대표원장은 “살이 찔까 봐 식단에서 탄수화물을 극도로 제한하면 학업 능력 저하는 물론 건강한 성장에 방해가 된다”며 “장기간의 저열량 식사로 골격을 이루는 칼슘, 혈액을 구성하는 철분이 결핍되면서 체력이 저하돼 아이가 만성피로를 호소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관리가 필요한 아이까지 방치해선 안 됩니다. 체질량지수 백분위수가 95 이상이거나 또래보다 체중이 20% 이상 더 나가면 건강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핵심은 초등학생까지는 체중감량보다 유지에 주안점을 두고 규칙적인 식사와 간식 줄이기 등을 통해 더 비만해지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o6wuq/btsF5Bztquk/n6AMOB35gHXfBKKLaw585k/img.png)
체중조절이 외모 개선이 아닌 건강을 위한 것이라는 점도 아이에게 반드시 이해시켜야 합니다. 운동 역시 ‘해야 한다’고 강요하기보다는 ‘건강해지기 위해 같이 운동하자’고 긍정적인 말로 제안하고 가족이 다 함께 나서는 것이 좋습니다.
#내추럴바디짐 #범계 #범계헬스 #범계피티 #범계pt #운동 #운동하는남자 #운동하는여자 #운동하는직장인 #헬스 #헬스타그램 #운스타그램 #헬린이 #바디프로필 #보디빌딩 #다이어터 #다이어트 #트레이너 #피트니스 #fitness #body #bodybuilding #health #daily